팁 저 사람은 왜 Bolt와 Copilot을 버리고 Cursor를 선택했을까 뭐가 좋은지 몰라서 일단 다 써봤습니다: AI 코딩 도구 사용기 최근 웹 개발 분야에서 AI 기반 도구의 발전은 놀라울 정도입니다. 하루 자고 일어나면 웹이나 앱을 대화형으로 만들어준다는 서비스가 매일 같이 등장할 정도로요. 저도 그 유행에 편승해서 서비스를 하나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이 글은 그 서비스를 만들기 시작한 후 느낀 점을 정리한
팁 [팁] 트레이딩 뷰를 활용해서 캔들 차트 백테스트 : 최고의 캔들은 인버티드 해머! 트레이딩뷰는 수많은 트레이더들이 사랑하는 차트 분석 플랫폼입니다. 트레이딩 뷰를 아직 모르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최고의 투자 백테스트 툴 트레이딩뷰(Trading view)트레이딩뷰 100% 활용하고 있으신가요? 요즘 유튜브에서 주식 방송을 하는 분들이 사용하는 차트를 보면, 10명 중 9명은 트레이딩뷰를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저도 매일 한 번씩은 접속할 정도로 트레이딩뷰를 애용하는데요,
팁 [팁]텔레그램 광고(Telegram ads) 모르면 후회하는 팁 모음 이전에 텔레그램 광고에 대해서 소개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텔레그램은 광고 업계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까?좋지 못한 이미지 때문에 평가절하하기에는 가능성이 너무 큽니다. 텔레그램은 전 세계적으로 7억 명 이상의 활성 사용자를 보유한 플랫폼입니다. 텔레그램의 사용 비율에 대해서는 정확한 자료가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2~3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점유율을 보유하고
팁 [팁] 고스트 블로그 (Ghost Blog)를 고려하는 사람들을 위한 Q&A 어느덧 이 블로그를 운영한 지도 3개월 정도가 지났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다시피 이 블로그는 고스트 블로그 플랫폼에서 운영되고 있는데요. 고스트 블로그에 대해 질문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아서 이번 기회에 지금까지 받은 질문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SEO 및 성능 관련 Q1. SEO 최적화가 잘 되어 있나요? 내부 SEO라는 관점에서 보면 고스트는 편리하게 구성되어
팁 [팁]구글 서치 콘솔의 노출 실적이 0건으로 변하는 원인과 대처법 SEO를 고려하며 홈페이지를 운영하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구글 서치 콘솔에서 노출 수치가 급격히 하락하는 현상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흔히 알려진 원인은 크롤링 오류나 robots.txt로 인한 차단, 혹은 콘텐츠 품질 저하인데요. 하지만 이미 한동안 정상적으로 사이트를 운영해왔다면 이런 문제일 가능성은 낮습니다. 홈페이지 운영중에 갑자기 노출이 줄어드는 이유 그렇다면 도대체
팁 [팁]노션 웹페이지 URL을 저렴하게 줄이는 3가지 방법 노션을 웹 페이지 대용으로 사용하려다 보면 늘 터무니없이 긴 URL이 발목을 잡습니다. 다행히도 노션으로 발행되는 홈페이지의 URL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몇 가지 존재하기 때문에, 아래 방법 중 하나를 골라 사용하시면 노션 웹 페이지의 사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1. 노션 유료 플랜 이용하기 ($10/월) 노션에서는 무료 플랜 상태에서도
팁 [팁]노션을 Super, Simple.ink, Oppy 등으로 웹사이트로 변경하기 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들 잠깐! 확인해 보셨나요? 노션의 페이지를 정적 페이지로 출력할 수 있는 웹 출판 기능이 업데이트된 이후로 노션으로 웹페이지를 대체하고자 하는 수요는 크게 증가했습니다. 동시에 Super, Simple.ink, Oppy와 같은 컨버팅 서비스를 통해 노션 단독으로는 어려웠던 도메인 관리, SEO, 커스텀 코드 삽입 등이 가능해지면서 노션 홈페이지는 더욱 유용한 웹 빌더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팁 [팁]TradingView 전략에 기간을 지정하는 방법 TradingView에서 전략을 만들고 백테스트를 진행할 때, 기간을 명확히 지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Pine Script로 작성된 전략은 로딩된 캔들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되는데, 열려있는 차트의 시간 프레임(예: 1시간봉, 1일봉, 1주일봉)에 따라 로딩되는 캔들 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느 시간 프레임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백테스트이 기간이 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radingView에서 Pinescript로 전략을
팁 [팁]Make.com에서 Notion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지우려고 하면 [400] Error parsing JSON body 가 발생합니다. 1. 버그 개요 Make.com에서는 Notion: Make an API Call이라는 모듈을 이용하여 Notion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레코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설정에 필요한 부분은 URL 뒤에 레코드의 고유 ID를 추가하는 것뿐이지만, 실제로 위 모듈을 실행해 보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2. 대처법 에러 메시지에는 JSON body의 설정이 올바르지 않다고 표시되지만, 이는